사회

해남군, ‘하구복원특별법’ 제정 논의 본격화…AI산업 연계 미래 청사진도 제시

박재형 기자
입력

[중앙통신뉴스]해남군(군수 명현관)이 4대강 자연성 회복과 한반도 생물다양성 증진이라는 국가적 과제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며, 하구 복원특별법 제정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해남군과 부여군, 그리고 박지원·신정훈·박수현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하구복원특별법 제정 국회입법 정책토론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토론회에는 전국 각지의 국회의원과 지방정부,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단체, 농·어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한 자리에 모여 하구 생태복원의 필요성과 법률 제정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의견을 나눴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하구 생태복원은 단순한 환경보호를 넘어,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신성장 산업과 연계해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키울 중요한 전략”이라며, “깨끗한 환경과 첨단기술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발전 모델의 중심에 해남이 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해남 솔라시도 기업도시는 2조 5천억 원 규모의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가 사실상 확정 단계에 있으며, 오픈AI와 SK그룹의 AI 데이터센터 추진, RE100 국가산업단지 지정 등 대형 사업이 힘을 얻고 있다. 이로써 해남은 대한민국 AI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토론 참석자들은 하굿둑 설치 이후 심화된 수질오염, 생물다양성 감소, 연안습지 황폐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조속한 특별법 제정과 안정적인 재원 확보, 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김충기 한국환경연구원 하구해양환경연구단장은 “하구복원특별법은 하구의 가치와 기능을 살리고, 각 하구별 맞춤 복원과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해남군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민·관·정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하구복원특별법의 신속한 입법을 위해 전국 단위 연대와 실질적 행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재형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해남군#하구복원특별법#ai컴퓨팅센터#국가ai산업#솔라시도#환경복원#경제성장#광주전남#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