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AI컴퓨팅센터 유치 무산 논란…광주시 ‘미온적 대처’ 주장은 사실 아냐”

박종하 기자
입력
-“부지·전력·용수 모두 충족, AI 생태계 완비된 광주” -“기업 돌변으로 공모 무산…광주시 ‘최선 다했다’ 반박” -“17만 시민 서명·범사회적 유치위 출범…AI 중심도시 비전 계속된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1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지역 각계각층 대표들과 함께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하고 있다 ⓒ 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10월21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지역 각계각층 대표들과 함께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하고 있다 ⓒ 광주시

[중앙통신뉴스] 광주광역시는 23일 입장문을 내고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 공모 무산과 관련해 제기된 ‘광주시의 미온적 대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대한민국이 AI 3강으로 도약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길은 광주에 국가AI컴퓨팅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라며 “광주는 이미 속도와 집적이 생명인 AI 생태계를 완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광주에 AI컴퓨팅센터 설립을 약속했고, 이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명시된 대통령 공약이자 국정과제”라며 “그럼에도 이 약속은 아직 이행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는 “국가AI컴퓨팅센터는 민간 데이터센터가 아니라 국가 책임 하의 공공 인프라”라며 “기업의 이해관계로만 결정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마저 기업 논리에 휘둘린다면 대한민국의 기술 경쟁력은 멈춰설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광주시는 “부지·전력·용수 등 핵심 인프라 경쟁력은 이미 확보돼 있다”며 “부지는 첨단3지구 내 주거·연구·교육기관이 밀집된 최적의 입지로, 주변 인프라와 미래 가치 측면에서 해남 솔라시도보다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총사업비 2조5천억 원 중 부지비는 1.2% 수준(약 300억 원)에 불과해 입지비용은 결정요인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전력공급망 역시 한전 기술평가서에 따라 40MW급 이중화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광주시는 “2028년 4월까지 첨단변전소와 수완변전소를 통한 이중 공급이 가능하며, 전력요금과 전력자립도 논란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용수 또한 하루 1,200톤은 광주 전체 취수량의 0.2%에 불과해 충분히 공급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이번 유치 실패의 원인을 “기업의 돌연한 입장 변경”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공모 참여 기업(컨소시엄)과 사업계획서 작성, 기술 협의, 전력계통 영향평가 등 세부 준비를 함께 진행했으나, 해당 기업이 최종 단계에서 광주를 배제하고 다른 지역으로 방향을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다른 기업과 함께 재신청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시는 “광주가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아 실패했다는 주장은 시민의 헌신과 행정의 노력을 폄훼하는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광주시는 17만여 명이 참여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통해 AI컴퓨팅센터 유치 열망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또한 국회의원, 산업계, 언론계, 종교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위원회’가 국회에서 출범해 대정부 건의와 공감대 확산에 나섰다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AI 중심도시 완성을 향한 비전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 공약이 반드시 이행될 수 있도록 국가 AI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 ‘광주 홀대론’ 재점화…AI컴퓨팅센터 입지 갈등 격화 | 중앙통신뉴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광역시#국가ai컴퓨팅센터#ai중심도시#ai3강#이재명정부#ai클러스터#광주ai#강기정광주시장#광주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