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재명 정부 ‘광주 홀대론’ 재점화…AI컴퓨팅센터 입지 갈등 격화

박종하 기자
입력
-“경제성보다 국가 전략”…광주 각계, 정부의 AI정책 근본 재검토 요구 -이재명 대통령 공약 ‘광주 명시’ 불구…기업·정부의 갑작스런 방향 전환에 반발 -광주시, GPU·전력요금 특례·1000억 투자 약속했는데…‘정책 신뢰’ 흔들린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1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지역 각계각층 대표들과 함께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하고 있다   ⓒ 광주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1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 지역 각계각층 대표들과 함께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하고 있다 ⓒ 광주시

[중앙통신뉴스]광주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 경제계, 종교계, 학계 대표 80여 명이 21일 밤 광주시청 중회의실에 긴급히 모여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논란’과 관련해 정부의 국가 AI 전략 부재와 광주 홀대 기조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날 회의는 삼성SDS가 광주 대신 전남으로 입지를 선회해 정부 공모를 신청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강기정 시장 주재로 긴급 소집됐다.


광주시는 정부와 기업 간 협의가 ‘광주 유치’를 전제로 진행되어 온 만큼, 갑작스러운 변경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참석자들은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는 광주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산업의 방향을 결정짓는 국가 전략사업”이라며 “정부가 당장의 땅값과 전력요금 등 경제 논리만으로 결정을 내린다면 국가 정책의 일관성이 무너진다”고 비판했다.

 

강기정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광주 유치를 직접 공약했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광주’로 명시됐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기업 논리에 편승해 방향을 바꾼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시는 GPU 즉시 투입, 부지 가격 인하, 전력요금 특례입법, 최대 1000억 원 규모 투자 지원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왔다”며 “이미 AI 인재·인프라·산업이 집적된 광주가 국가 AI 생태계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광주는 불의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켜낸 도시인데, 또다시 정치적 이해와 경제 논리에 의해 배제되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 문제는 단순한 유치 경쟁이 아니라 국가 신뢰와 공정성의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AI 패권 경쟁이 치열한 시대에 국가는 예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곳에 투자해야 한다”며 “이미 AI 인재와 기업, 데이터센터가 집약된 광주를 외면하는 것은 국가 전략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ai컴퓨팅센터#광주ai센터#이재명정부#광주홀대정책#ai산업정책#강기정시장#국가ai전략#광주정치권#광주시민사회#ai컴퓨팅센터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