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의회, 수해 주민의 일상 복귀를 향해 '끝까지 함께' 할게요"

[중앙통신뉴스] 전남 담양군의회(의장 장명영)는 30일 언론자료를 통해 특별재난지역 지정의 필요성과 폭우 피해 극복을 위한 의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지난 7월 16일부터 19일까지 담양군은 평균 538mm, 최대 615mm의 기록적인 폭우를 경험하며, 이로 인해 255동의 주택이 침수되고, 360ha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었으며, 150곳 이상의 공공시설이 파손되는 등 약 173억4600만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정부는 2025년 7월 22일, 담양군을 포함한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신속한 지원체계를 가동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공공시설 복구비의 최대 7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주민들은 세금 감면과 공공요금 유예 등의 혜택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는 피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시간이다. 비가 그치기도 전인 7월 18일부터 현재까지, 약 230개소의 피해 현장에는 4,811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찾아와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긴급한 공공시설 응급복구를 위해 10억원의 특별교부세가 지원되었고, 피해 주민을 위한 특별재난 지방세제 지원이 시작되었다. 또한, 수해복구 봉사활동에 참여한 자원봉사자에게는 왕복 무료 승차를 지원하는 곳도 있어, 지역 사회의 연대감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여러 기업들도 다양한 기부와 지원을 통해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이번 폭우는 단순한 기상 이변이 아니라 기후 위기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담양군의회는 이러한 반복되는 이상 기후 현상과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정책의 검토와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매년 재해복구사업 실무지침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 6월에도 현 상황을 반영한 개정안을 배포하였다. 담양군은 최근 피해가 가장 심했던 2020년과 2025년의 피해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지역 실정에 맞는 재난 대비책과 복구 지침을 마련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의회는 하천 정비, 배수 시설 개선, 주민 재난 대응 교육 등 예방 중심의 행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감독과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복구사업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 투명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회 차원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할 것이다.
담양군의회 장명영 의장은 “우리 담양군의회는 이번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단순한 제도적 혜택에 그치지 않고, 군민의 일상을 다시 세우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향후 현장 중심의 감독·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의회 활동을 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