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동학농민혁명·영호도회소 국제 학술대회, 전남 항일운동 재조명

김성태 기자
입력
수정

[중앙통신뉴스]전라남도가 동학농민혁명과 영호도회소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국제 학술대회를 22일 동부지역본부 이순신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라남도 주최, 한국학호남진흥원 주관으로 진행됐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비롯해 한국과 중국의 학계 전문가, 동학 관련 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해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와 광주·전남 항일 활동’을 주제로 다양한 관점의 논의가 펼쳐졌다.

 

도올 김용옥 명사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의와 조선민중의 항일정신’을 시작으로, 위신광 산동대 교수의 ‘청일전쟁 초기 일본군 작전에 미친 동학군과 민중의 움직임’, 김명재 영호도회소 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의 ‘영호도회소 농민군 활동’, 박해현 초당대 교수의 ‘제2차 동학농민혁명과 항일 의병’, 박용규 고려대 교수의 ‘동학농민혁명과 독립운동의 연관성’ 등이 발표됐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김양식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소장이 좌장을 맡아, 임송본 남도학연구원 이사, 조재곤 서강대 연구교수, 신민호 전남도의원, 한규무 광주대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이 동학농민혁명과 영호도회소의 위상 제고, 연구 활성화 방안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동학농민혁명은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평등한 세상’을 향한 민중의 의로운 움직임이었다”며 “이 숭고한 정신은 3·1운동, 항일 의병,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또, “동학농민혁명 유적지 종합정비와 국가기념식 전남 개최 추진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항일운동의 출발점으로 알려진 제2차 동학농민혁명과 함께 순천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영호도회소의 주도적 역할과 민중 운동 현장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기존에 동학농민군 전체 활동에만 초점이 맞춰져 왔던 연구에 비해, 순천과 전남 지역을 중심에 놓고 동학농민혁명을 다시 바라보는 계기가 됐다.

 

김성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동학농민혁명#영호도회소#전라남도#광주전남항일운동#국제학술대회#민중운동#항일정신#순천역사#전라도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