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축제

영암왕인문화축제, 벚꽃축제 분리·콘텐츠 혁신 추진

박재형 기자
입력
영암군 문화축제, 벚꽃 의존 벗어나 혁신 방안 모색…"달밤 야간축제·차별화 콘텐츠"

[중앙통신뉴스]기후위기로 벚꽃 개화 시기가 불확실해지면서, 영암왕인문화축제를 벚꽃 중심에서 사람과 이야기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영암군은 지난 20일 가야금산조기념관에서 지역 주민과 학계 전문가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영암군 대표축제 발전 토론회’를 열고, 벚꽃축제와의 분리 운영, 콘텐츠 혁신, 주민 참여 확대 등의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김병원 목포대학교 교수는 “기후 변화로 벚꽃 개화 시기 예측이 점점 어려워진 지금, 축제가 벚꽃에만 기대지 말고 왕인문화축제의 고유한 정체성과 독창성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핵심 콘텐츠에 집중하고, 프로그램 구조를 슬림하게 재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좌장을 맡은 강신겸 전남대학교 교수는 “지역 축제는 이제 도시 브랜드의 핵심 도구가 됐다”며, 확고한 정체성 확립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주문했다.

 

토론에 나선 안태기 광주대학교 교수는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하나의 킬러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축제 대표 프로그램인 왕인퍼레이드도 단순 행진이 아닌 상징성과 스토리텔링을 더한 퍼포먼스로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년들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음악, 피크닉, 캠핑 등 라이프스타일형 프로그램 확대를 제안했다.

 

박창규 전남도립대학교 교수는 영암의 자연 자원인 월출산과 달 이미지를 활용한 차별화된 브랜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밤을 활용한 야간 축제, 생태 체험형 프로그램은 영암만의 경쟁력이 될 수 있으며, 소규모 마을 축제와 대표축제를 연계하는 시도도 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영암문화원장은 “축제의 본래 취지를 살리면서도, 운영은 시대에 맞게 혁신해야 한다”며 유료화, 쿠폰제, 청년 창업가와 장인 중심의 상생형 부스 운영 등을 제안했다. 이어 박복용 문화해설사는 해마다 반복되는 교통 체증과 주차난을 꼽으며, 외곽 주차장 확보와 셔틀버스 증설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외에도 왕인문학상 부활, 세계기록에 도전하는 천자문 퍼포먼스 등 새로운 문화 콘텐츠 추가 방안도 논의됐다.

 

영암군은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제안을 바탕으로 오는 11월 중 구체적인 과제를 도출하고, 12월부터는 ‘축제 리뉴얼 기본구상안’ 마련에 착수할 계획이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이번 토론회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왕인문화축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며 "군민과 함께 정체성을 강화해 대한민국 대표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박재형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영암왕인문화축제#영암군#벚꽃축제#월출산#스토리텔링#청년참여#콘텐츠혁신#야간축제#도시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