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호남 하늘길 단절 심각… 정부, 광주공항 임시취항 허용해야”

윤산
입력
-무안공항 동계 일정서 제외… 15개월째 ‘하늘길 단절’ 지속 -광주시 “정부, 명확한 로드맵 없이 광주공항 임시취항 막아” -“호남권 항공 접근성 회복, 정부 결단이 관건”

[중앙통신뉴스]무안국제공항의 재개항 시점이 또다시 미뤄지면서,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호남권 하늘길 단절 사태 해소를 위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10일 “정부는 단절된 호남의 하늘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재신청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 김영선 통합공항교통국장은 입장문을 통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동계 정기편 항공 일정’(2025년 10월~2026년 3월)에서 무안국제공항이 완전히 제외된 것은 사실상 지역 항공 접근성을 끊어놓은 결정”이라며 “광주·전남 시도민의 불편이 장기화되고, 지역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무안공항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4차례에 걸쳐 폐쇄 기한이 연장되며 15개월 넘게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내년 3월 이후에도 재개항 시점이 확정되지 않아, ‘무기한 공항 정지’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다.

 

광주시는 지난 2월부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지속 요청해왔으나, 국토부는 “무안공항 10월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무안공항 재개항 계획의 구체적 로드맵이 제시되지 않았고, 공항 복원 일정도 불투명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광주시는 “무안국제공항 정상화가 장기화될 경우, 지역민 불편과 관광·물류 피해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즉시 재신청하고, 정부는 책임 있게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시는 무안공항의 정상화를 전제로 추진돼 온 ‘호남권 하늘길 일원화 정책’이 사실상 표류한 만큼, 당분간 광주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한시적으로 복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호남권은 산업·관광·물류 모두 항공망 단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의 차원에서라도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재개를 조속히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공항#무안국제공항#광주광역시#강기정시장#국토교통부#국제선임시취항#호남하늘길#지역균형발전#항공접근성#광주전남공항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