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고 끝?” 영암 자전거도로 안전 사각지대… 탁상행정 비판 거세
[중앙통신뉴스]전남 영암군(군수 우승희)이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활성화를 위해 조성한 자전거도로가 관리 부실로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구간은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방치돼, 행정의 무관심이 낳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현장을 찾은 주민들에 따르면, 다수의 자전거도로 구간이 잡초와 덩굴, 잡목으로 뒤덮여 있으며, 일부 노선은 건축 자재와 생활 쓰레기가 쌓여 있어 안전사고 우려가 크다. 주민들은 “도로라기보다는 풀밭에 가깝다”, “만들고 나서 방치했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영암읍 일대에 신설된 2.2km 자전거도로는 약 30곳 이상에서 차량 진출입로와 중복되도록 설계돼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교차 지점에서의 시야 확보가 어렵고, 돌발 차량 진입 위험이 상존하면서 ‘자전거 전용도로’라는 명칭이 무색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자전거도로는 조성보다 관리가 핵심”이라며 “신설 구간일수록 차량 통행과의 교차를 최소화하는 안전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근 강진군은 자전거 이용 센터와 전기자전거 지원, 여수시는 안전 감찰 및 시민 자전거 운영 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을 통해 모범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영암군은 이용자 불편과 안전 문제가 잇따라 제기된 만큼, 자전거도로 전 구간 실태 점검과 정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주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체계적 관리 없이는 ‘친환경 자전거도시’라는 이름이 무색하다는 비판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