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보성군 클린600 정책, 대한민국 지방자치 혁신 모델로 부상

박종하 기자
입력
대상 수상 계기로 ‘보성형 주민자치’ 전국 확산 기대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에서 ‘클린600’사업을 설명하고 있는 김철우 군수 ⓒ보성군

[중앙통신뉴스]보성군(군수 김철우)이 주민 주도·행정 협력형 생활환경 개선 사업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7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에서, 보성군의 ‘클린600’ 사업이 대상을 수상하며 대한민국 대표 혁신정책으로 인정받았다.

 

‘클린600’은 군 전역 600개 자연마을 주민들이 직접 내 집 앞과 우리 마을을 가꾸는 청결 운동이다. 마을별로 자율적으로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정비 활동에 나서며, 군에서는 수거·운반·처리 등 행정 뒷받침을 해왔다. 이러한 주민 자치와 행정의 유기적 협력이 골목 구석구석까지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다.

 

주요 내용으로는 ▲주민 참여형 마을 환경 정비 ▲읍·면 중심의 교육·홍보·참여 프로그램 ▲군 차원의 체계적 행정 지원 ▲생활 쓰레기 유상 수거 및 재활용·폐가전 무상 수거 확대 ▲방치폐기물에 대한 적극 행정 처리가 포함된다. 이로 인해 쓰레기 불법투기, 무단 소각 등이 눈에 띄게 줄었고, 자발적 분리 배출 문화 역시 정착됐다. 주민들의 자율적 참여와 마을 공동체 내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지역 자치역량도 한층 강화됐다.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대상’ 수상(좌로부터 김철우 군수, 우원식 국회의장) ⓒ보성군

이날 정책대회 심사위원단은 ‘클린600’을 주민이 계획부터 실행·평가까지 전 과정을 참여하는 현장 밀착형 자치 모델로 높이 평가했다. 행정이 주도하지 않고, 주민의 목소리와 실천을 중심에 두고 있는 점, 또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이 성과는 행정이 이끈 결과가 아니라, 주민 한 분 한 분이 몸소 실천에 나서 만들어낸 값진 변화”라며 “보성군은 앞으로도 주민 주도, 행정 지원 구조를 통해 진짜 지방자치의 길을 꿋꿋이 걸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성군은 ‘클린600’의 정책 운영 경험을 환경 분야뿐 아니라, 복지·문화·교육 등 전 영역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주민 중심 정책 모델을 더욱 체계화하고, 타 지자체와 협력 네트워크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성군#클린600#지방자치#정책대상#주민참여#청결운동#혁신정책#공동체#환경개선#광주전남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