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햇빛으로 농가소득·RE100 동시 달성” 광주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본격 추진

박종하 기자
입력
수정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 연계한 영농형 태양광 본격화 -농민 소득·기업 탄소중립 두 마리 토끼 잡는 상생 에너지 모델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제도 정비 추진…민관협의회 중심 사회적 합의 구도 구축
▲강기정 광주시장이 5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5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에 참석해 농민,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박균택 국회의원 등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한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본격화하며 농업과 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상생 모델 구축에 나섰다.

 

광주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열고, 농민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에너지 전환형 농촌경제 모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부 국정과제인 ‘농민 햇빛연금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선도 프로젝트로,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이 주관했다. 

 

출범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등 관계자 및 지역 농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본량동 일원 약 20만㎡의 농지에 설치될 태양광 설비(10MW 규모)는 농지 상부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하부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이중 활용형 발전시스템’으로, 동일한 토지에서 농업 생산성과 친환경 전력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생산된 전력은 인근 지역 기업에 공급돼 RE100(재생에너지 100%) 실현을 지원하며, 농민에게는 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제공한다.


이 사업은 단순한 발전시설이 아닌, 농민이 직접 참여·운영하는 ‘농민 주도형 에너지 협동 모델’로 기획됐다. 광주시는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 및 농지법 개정을 추진하며, 행정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민관협의회에는 본량동 주민과 정부 부처 관계자, 광주시·광산구 공무원, 시·구의회 의원 등이 참여해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해충돌 조정 및 사회적 합의 도출 역할을 맡는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에너지 전환과 지역상생을 결합한 광주시의 모델은 대한민국 농정 전환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며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 구조가 전국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농민에게는 햇빛연금, 기업에는 RE100 달성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농민이 주체가 되는 광주형 모델을 전국 표준으로 발전시켜 농업과 에너지가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re100#영농형태양광#본량동태양광#햇빛연금#농민기본소득#에너지전환#강기정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