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모델, 전국적 관심…정부 정책 방향 이끈다

[중앙통신뉴스]광주 광산구(구청장 박병규)가 민선 8기 역점으로 추진 중인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이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일자리 창출 패러다임을 기존 ‘수량’ 중심에서 ‘질’ 중심으로 전환하며, 지역민 주도형 일자리 모델을 뿌리내린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14일, 평동종합비즈니스센터에서는 한국산업노동학회와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 전국노사민정협의회 사무국협의회가 함께 ‘지역 주도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정책의 의미와 실현 방안’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학계, 노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지방정부 일자리 정책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광산구가 주도한 ‘지속가능 일자리 정책’은 이번 포럼에서 주요 성공 사례로 집중 조명됐다.
채준호 전북대 교수는 “광산구는 시민이 직접 사회적 대화에 참여해, 삶터와 일터에서 민주주의가 살아있는 일자리 정책을 탄생시켰다”며, “특히 양적인 확장보다 노동환경과 삶의 질 개선에 무게를 둔 점이 큰 의미”라고 평가했다.
또 권현지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역시 “광산구가 실험하고 성과를 낸 다양한 일자리 모델은 앞으로 지방 노동정책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산구는 시민과 전문가, 노동자가 함께 참여해 1,400여 개의 질문을 던지고, 1만 건이 넘는 답을 모으는 녹서·백서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이 과정에서 시민이 제안한 23개 분야별 '지속가능 일자리 모델(안)'을 정리하고, 이 중 5개 과제를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거, 보육, 의료, 문화, 교통 등 사회임금 지원체계 확대도 본격화된다.
현장 의견도 긍정적이다. 이찬규 전국노사민정사무국협의체 고문은 “고용 위기가 가속화되는 시대에 광산구가 선제모델을 제시했다”고 평가했으며,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광산구가 추진하는 사회임금과 지역 주도 일자리 정책이 청년의 지역 정착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현일 창원대 교수도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의 선도 사례로 전국 지방정부가 참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명등용 광산구 지속가능일자리특구추진단장은 “이제는 일자리의 양적 확대를 넘어서, 지역 주도, 시민 주인의 원칙 아래 노동환경의 질적 성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