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반값여행, 국가정책으로 채택…지방관광 활성화 신모델"

[중앙통신뉴스] 강진에서 출발한 ‘반값여행’ 정책이 마침내 국가정책으로 채택되며, 지역관광 활성화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5일 서울 하이커그라운드에서 열린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강진원 강진군수가 ‘전국 최초 반값여행’ 정책 성과를 직접 발표했다. 이날 회의엔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부 관계자, 한국관광공사, 관광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강진군이 주도한 반값여행 정책은 관광객이 강진에서 소비한 금액의 절반을 모바일 지역화폐로 돌려주는 방식이 핵심이다. 단순한 할인 차원을 넘어 지역 내 재소비 구조를 촉진하면서 소상공인, 전통시장, 특산품 농가 등 모든 경제 주체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실제로 해당 정책이 도입된 2024년, 강진을 찾은 관광객은 282만 명으로 전년 대비 43만 명이 증가했고, 지역 온라인몰 ‘초록믿음강진’ 매출도 급성장하며 경제적 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성공 사례는 대통령까지 언급하는 등 전국적 관심을 끌었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강진에서 쓴 돈 일부를 지역화폐로 돌려주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평가했고, 국무총리 역시 전국으로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제 강진형 반값여행 모델은 정부의 '지역사랑 휴가지원제'로 공식화된다. 2026년부터 인구감소지역 20곳에서 시범 실시되는 이 사업은 관광객 1인당 최대 10만 원, 2인 이상 최대 20만 원까지 지역화폐를 환급받을 수 있는 구조다. 기획재정부도 이 정책을 국민체감 10대 예산사업에 올리며 적극 지원 의지를 밝혔다.
현재 관광업계 현장과 각 부처는 숙박·교통 인프라 확충, 해외 관광객 유치 등 후속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며 전국적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진군이 시작한 ‘반값여행’ 정책이 전국적인 관심을 끌며 지방 관광 트렌드를 바꾸고 있다. 실제로 하동군, 진주시, 상주시, 해남군, 여수시, 충주시 등 여러 지자체 관계자들이 강진을 직접 찾아 정책 도입 과정을 배우고 있으며, 영암군, 완도군, 산청군 등은 전화로 운영 노하우를 문의하는 등 뒤따르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강진원 군수는 “반값여행 정책은 군민과 공직자 모두의 간절한 바람에서 시작됐다”며 “이제는 강진군이 대한민국 관광과 경제의 중심에 우뚝 섰다”고 밝혔다. 그는 “작은 지역에서 시작된 도전이 전국적으로 주목받는 혁신 사례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강진군이 국가경제 회복을 이끄는 중추 역할을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