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822억 규모 '재난 복구 및 방재 강화' 동시 추진
- 1‧2차 호우피해 생활안정지원금 258억 추석 전 신속 지급
- 주택침수세대 최대 900만원 지원…시설복구 564억원 투입
- 호우 침수 피해 재발 방지에 3단계 근본 예방대책도 마련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지난 여름 극한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를 위해 총 822억원을 긴급 지원하고, 신속한 시설 복구와 시민 생활안정에 나섰다. 특히 시는 추석 전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해 행정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할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호우피해 복구 및 침수 예방 대책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여름 두 차례 발생한 극한호우로 광주지역에서는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심각했다. 사망자 2명, 재산피해 1만5871건(공공시설 414건 228억원, 민간시설 1만5000여건 100억원), 일시대피 286세대 417명 등의 피해가 발생해 정부는 북구 전 지역과 광산구 일부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시는 확보한 822억원의 재원 중 국비 425억원, 시비 143억원, 구비 232억원 등을 투입해 피해 복구와 지원에 나선다. 주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시설 복구에 564억원을, 주민 생활안정 지원에 258억원을 배정했다. 주택 침수 세대에는 최대 900만원(재난지원금 700만원, 의연금 200만원)을, 소상공인에게는 최대 1000만원(재난지원금 800만원, 구호기금 2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침수피해 재발 방지를 위해 3단계 대책을 마련했다. 1단계 긴급대책으로 104억원을 투입해 응급 복구와 기반시설 개선에 나서고, 2단계 중기 대책으로 4349억원을 집중 투입해 근본적인 수해 예방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3단계 장기 대책에서는 양동 복개상가와 서방천 복개도로의 하천 유수 기능 회복 등을 추진한다.
강기정 시장은 "극한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시민들께 다시 한 번 깊이 위로드린다"며 "신속한 복구 지원과 함께 근본적인 재난예방시설을 구축해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