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국선열의 날, 전남 미서훈자 발굴 독립유공자 9명 선정·포상

[중앙통신뉴스]전라남도와 광복회 전남도지부(지부장 송인정)가 17일 전남도청 왕인실에서 제86회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을 열고,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며 도민과 함께하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는 ‘대한민국 빛낼 이 너와 나로다’란 주제로 열렸으며,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 김남용 전남서부보훈지청장, 각 보훈단체 관계자, 광복회원 등 지역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경건하게 진행됐다. 국민의례, 독립유공자 포상 전수, 기념사, 공연, 순국선열의 노래 제창 등 다양한 순서로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겼다.

특히 올해는 전남 출신 9명이 새롭게 독립유공자로 포상 받았다. 이 중 6명은 전남도가 전국 최초로 추진한 ‘독립운동 미서훈자 발굴 및 서훈신청’ 사업을 통해 확정된 인물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포상자는 애국장 1명, 애족장 2명, 대통령 표창 6명이었으며, 고 신태금 독립유공자의 외손녀 최유임 님에게 포상이 직접 전달됐다.
신태금 님은 1932년 영암 덕진면에서 조선총독부의 착취적 농업정책에 저항하며 청년들과 소작쟁의를 이끈 독립운동가다. 체포와 투옥을 감수하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포상 전수는 국가보훈부 중앙식에서 1명이, 나머지 4명은 유족의 거주지에서 각각 진행됐고, 유족을 아직 찾지 못한 3명은 앞으로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사업을 통해 후손이 확인되는 대로 전달될 예정이다.

강위원 경제부지사는 “행동 없는 추모는 기억을 가난하게 만든다”며,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실천으로 이어받아 전남이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전남도는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총 3억 6천900만 원을 들여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0여 명을 발굴했고, 그중 1,100여 명이 서훈 신청됐다. 현재까지 38명이 정식 서훈을 확정 짓는 등 미서훈자 예우를 위한 노력이 값진 결실을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