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대안교육 포럼, 교육 혁신과 학생 성장의 열쇠 찾다

[중앙통신뉴스]전남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2025 전남 대안교육 포럼’을 지난 27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성황리에 열었다. ‘삶을 가르치는 학교, 사람을 키우는 교육’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교사, 학부모, 학생,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대안교육의 실제 경험과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포럼 기조연설에 나선 이병곤 건신대학원대 교수는 “한국과 일본만이 수능·내신이 모두 객관식 시험 위주다. 치열한 입시 경쟁뿐인 현실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할 기회를 얻기 어렵고, 그로 인한 위기와 불안이 심각해진다”며 “대안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걷게 돕는 교육이자, 새로운 길을 찾는 시도”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 패널로 참여한 학생·학부모·교사는 각자의 생생한 경험을 털어놓았다. 청람중 조영란 학부모는 “학교와 가족이 소통 방식을 바꿨고, 그 결과 학생 중심 의사결정이 자리를 잡았다”라고 말했다.
엄재춘 한울고 교장은 “학생은 결코 미완성의 존재가 아니며, 스스로 삶을 그려나갈 주체다. 성적 경쟁이 아닌 행복한 성장을 이끌어주는 것이 대안교육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교사는 정해진 틀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성찰하며 학생 곁을 지키는 동반자”라고 덧붙였다.
졸업생 입장에서도 대안학교 경험은 깊은 울림을 전했다. 한빛고 출신으로 현재 교사로 일하는 조경요 씨는 “‘괜찮다, 기다릴게’라고 말해준 선생님의 한마디가 힘든 시간을 버티는 원동력이었다”며 대안학교가 남긴 의미를 강조했다. 영산성지고에 재학 중인 김도영 학생도 “다시 선택한다 해도 대안학교를 고를 것”이라고 전했다.
포럼 이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게임 과몰입 학생 지도, 학부모 참여 방안, 진로 준비, 학생 자존감 회복, 지역사회 연계 등 현장의 실제 고민이 자유롭게 논의됐다. 참가자 다수는 “대안학교 교육 현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전남 대안교육의 생생한 방향성을 체감할 수 있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남교육청이 현장에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95%가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고 답하는 등 긍정적 평가가 이어졌다. 92%는 현장 적용 가능성에도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김광식 전남교육청 민주생활교육과장은 “대안교육은 새로운 제도가 아니라 학생 한 명 한 명의 삶을 존중하는 교육철학의 실천”이라며 “앞으로도 모든 학생이 자기 속도대로 성장하도록, 학교와 가정이 함께하는 사람 중심 교육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