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군, 해조류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중앙통신뉴스] 전라남도 완도군(군수 신우철)은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로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해조류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혁신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지역 내 해조류 우량 종자 및 신품종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특히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수산종자연구소와 협력하여 소안 김의 우수한 품종 4종을 개발했다. 이 중 1종은 현재 품종 출원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들 품종은 향후 엄격한 재배 시험을 거쳐 공식 등록될 예정이다. 완도군은 해조류의 기능성 물질 추출을 통한 해양 바이오 산업 기반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2020년부터 기능성 해조류인 감태의 시험 양식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감태는 갈조류로서 폴리페놀 추출에 최적화된 자원이며, 대량 양식 시 고온기 전복의 대체 먹이로 활용될 수 있고 의약품 및 기능성 물질의 안정적인 원료 공급원으로도 기대된다.
더불어 바다고리풀, 뜸부기 등 유망 양식 품종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2022년 완공된 '김 육상 채묘 및 냉동망 보관 시설'을 통해 연간 6,000책 이상의 김 양식 어가에 채묘를 보급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물레 개수를 대폭 확충하여 20,000책 이상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에는 해조류 채묘 틀 생산 시설이 준공되어 미역, 다시마, 곰피 등 해조류 종자 틀을 양식 어가에 50만 개 이상 공급하고 있다.
완도군은 해조류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해조류 블루카본 신규 인증, 해양 바이오 산업 기반 시설 구축, 해상 풍력과 수산업의 공존 등 다각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해조류 특화 해양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해조류와 전복 추출물의 코로나 바이러스 침투 억제 연구'가 특허 출원 중이며, 감태, 곰피, 청각 등 해조류 성분의 미세먼지 유사 물질 염증 억제 효과가 국제 학술지 '메디시나'에 게재되는 등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신우철 완도군수는 "완도는 미국 NASA가 주목하고 영국, 프랑스 등 세계 각국의 해조류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해조류 양식의 최적지"라며, "해조류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