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역사 왜곡 도서' 강력 대처…재발 방지 대책 본격화

[중앙통신뉴스]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8월 11일부터 27일까지 공공도서관을 제외한 도내 830여 개 학교를 대상으로 '역사 왜곡(의심) 도서' 전수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10일 '독서로' 검색시스템 조사 결과, 확인되지 않은 관련 도서가 현장에 아직 남아있을 수 있다는 판단과 함께 역사 왜곡 자료의 교육현장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조사 결과, 논란이 되었던 도서는 10교 18권에서 18교 45권으로 증가했으며, 기존 논란도서를 포함해 총 70개 학교에서 32종 169권의 친일 잔재 및 역사 왜곡(의심) 도서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기존 논란 도서는 각 학교의 도서관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폐기되었고, 추가로 의심되는 도서는 절차에 따라 폐기할 예정이다. 교육청은 현장의 판단과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검토를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추가로 발견될 수 있는 도서는 전남시민사회단체 및 역사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2026년 2월까지 단계적으로 처리할 방침이다. 전남교육청의 '역사 왜곡 도서 유입 재발 방지 대책'의 핵심은 사전 차단, 사후 처리, 역량 강화로 요약된다.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의 기능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준을 강화하여 유입 과정의 검증 절차를 더욱 엄격히 하고, 학교는 구입 예정 목록을 홈페이지에 7일간 사전 게시하여 지역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도교육청 차원에서는 공신력 있는 역사단체, 여순사건 유족회, 시민단체 추천 인사, 역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자문단'을 운영하여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학생과 교직원의 올바른 역사 인식을 위한 역량 강화 교육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역사교육 및 역사의식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왜곡된 자료를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義 청소년 헌법교육센터' 설립을 통해 여순 10·19 평화인권 교육을 포함한 헌법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의 역사적 공동체 의식과 K-민주주의 가치를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학교 자율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존중하면서 전문가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강화해 역사 왜곡 도서가 다시는 학교 현장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하며, 여순 10·19 평화인권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역사의식과 민주 시민 교육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