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보다 큰 ‘더현대 광주’, 2028년 개점 목표…도심 르네상스 신호탄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오는 20일 북구 임동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서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 착공식을 개최한다. 수십 년간 도시 한가운데 멈춰 있던 산업유산이 드디어 새로운 도시혁신의 무대로 바뀌는 순간이다.
이번 착공식은 현대백화점그룹이 주관하고, ‘더현대 광주’의 핵심 콘셉트와 건축 비전이 처음 공개된다. 행사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개형 행사로 진행되며, 광주시는 안전관리와 교통대책을 마련해 시민 편의를 지원한다.
강기정 시장은 “이 사업은 단순한 상업시설 건립이 아닌, 쇠퇴한 도심을 회복시키는 도시재생의 전환점”이라며 “시민의 참여와 상생이 함께 가는 모델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설계를 맡은 세계적 건축가 헤르조그 앤 드 뫼롱(Herzog & de Meuron)은 도시의 역사적 맥락과 자연 요소를 결합해 ‘열린 광주’를 표현할 예정이다. 2027년 말 준공, 2028년 정식 개점을 목표로 한 이 공간은 단순한 쇼핑몰을 넘어 예술·문화·휴식이 공존하는 복합문화몰로 조성된다.
광주시는 ‘더현대 광주’를 통해 글로벌 쇼핑·문화 허브도시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도심권 유동인구 확장, 관광객 유입, 청년 일자리 창출을 통해 연간 3천만 명의 도시이용인구 시대를 연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신속·공정·투명’ 행정 3원칙을 바탕으로, 인허가 절차를 기존 19개월에서 11개월로 단축시켜 속도감 있는 추진력을 확보했다. 행정 전담조직인 ‘복합쇼핑몰 신활력행정협의체’가 중심이 되어 원스톱 통합 행정을 수행했다.
광주시는 사업 초기부터 지역 소상공인과 20여 차례 간담회를 열고 실질적 상생방안을 논의했다.
앞으로 대기업, 소상공인,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복합쇼핑몰상생발전협의회’를 운영해▲로컬브랜드 공동 입점 ▲상생마켓 ▲공동마케팅 등 실질적 지역경제 순환모델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7월 체결된 개발협약에 따라 민간사업자는 총 공공기여금 5,899억 원을 광주시에 제공한다.
이 중 2899억 원 상당의 기반시설은 개점 전 완공, 현금 3,000억 원은 5년 분납 방식으로 지급된다. 이는 광주시가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한 모범사례로 평가된다.
광주시는 이번 착공이 도심 활성화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더현대 광주는 시민과 상생하는 ‘도시 성장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유통과 문화, 지역상권이 함께 발전하는 광주의 새 경제지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