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AI 인프라 기반 ‘모빌리티 신도시’ 본격 시동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국내 유일의 국가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인프라를 발판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광주·전남 대도시권 AI 모빌리티 신도시 구상 정책토론회’가 열렸다.광주 지역 국회의원 8명이 공동 주최하고, 광주시와 광주연구원이 함께 주관한 이번 자리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 및 미래차 관련 주요 기관·기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이날 강기정 시장은 “광주는 국내 두 번째 자동차 도시이자 AI와 모빌리티의 융합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AI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을 통해 광주가 시민 일상과 산업 혁신을 이끄는 대표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규제프리존, 완전자율주행 실증 인프라, 호남권 산업 확장, RE100산단 조성, 그리고 광주연구개발특구에서 송정역, 미래차 국가산단, 영광을 잇는 신산업선 신설 등 구상을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AI 데이터센터, 전문 인재, 다양한 기업이 삼각축을 이루는 광주의 인공지능산업 생태계와 미래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김홍목 국토교통부 국장은 “광주는 AI 인프라를 갖추고 도시 단위 실증에도 최적화되어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모빌리티 대전환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동일 산업부 정책관은 “광주는 완성차 공장과 AI,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까지 두루 갖춘 생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도시”라고 호평했다. 진종욱 한국자동차연구원장은 “정책 의지와 지자체·정부·국회의 힘을 모으면 광주가 미래 모빌리티 중심지가 될 것”이라며, “AI 인프라 확충과 실증 정책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책토론회에 참여한 지역 국회의원들은 “광주는 전통적 자동차산업뿐 아니라 AI와의 융합으로 미래를 개척하고 있다”며 “정부와 손잡고 광주형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최치국 광주연구원장은 “이번 토론회는 광주가 준비해온 ‘AI 모빌리티 신도시’ 비전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중앙정부·정치권이 함께 실천방안을 모색한 뜻깊은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국무회의에서 5년간 추진할 123개 국정과제를 확정하며, 여기에 광주공약 실현을 위한 국토부·산업부의 이행계획도 포함시켰다.
국토부는 미래 모빌리티와 케이(K)-인공지능(AI) 시티 실현(국정과제 31대) 이행계획에 ‘인공지능(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산업부는 신성장동력 발굴·육성으로 첨단산업 국가도약(국정과제 29대) 이행계획에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반영했다.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는 실증·운행을 위한 교통체계와 AI 기반 도시통합 관리시스템 등 첨단 인프라를 갖춘 신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올해 사전 기획연구를 시작으로 ▲2026년 기본구상 용역 추진 ▲2027년 예비타당성조사 및 국비 반영 ▲2028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피지컬 AI 기반 미래차 산업 혁신클러스터는 지역 부품기업들의 미래차 부품 개발·실증·인증을 지원하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들을 집적화시켜 첨단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올해 예비타당성조사 기획 용역을 추진하고 ▲2026년 예타 심사 ▲2027년 예타 통과 및 국비 반영 ▲2028년 사업 추진 ▲2030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