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남도, 김산업 국가전략 본격화…2026년산 물김 대규모 생산 나선다
김성태 기자
입력
K-김 세계화, 전남 물김 생산 지원 총력

[중앙통신뉴스]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K-김’의 세계화와 수출 확대에 발맞춰, 2026년산 물김의 안정적인 대량 생산과 품질 향상을 위해 지원을 강화한다.
올해 전남 김 산업은 수출 호조와 양식장 관리 개선에 힘입어, 2025년산 물김 생산액이 8,404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남도는 여세를 몰아 내년에도 6만 5천 헥타르의 양식장에 92만 책의 김발을 설치해 약 50만 톤의 물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양식장에는 김 종자를 그물에 붙이는 채묘 작업이 한창이다. 지난 9월 말 기준 계획의 40%를 마쳤으며, 10월 중순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올해 물김 첫 수확도 오는 10월 25일께로 예년보다 5일가량 빨라질 전망이다.
친환경적인 김 산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2년부터 전남도는 신규 김 활성처리제 개발과 현장 시험을 완수했으며, 관련 법령 개정도 정부에 건의해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김 산업 국가전략산업 육성 연구용역’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국립김산업진흥원 설립, 수출단지 조성 등 산업 클러스터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고품질 물김 생산을 위한 시설 투자도 확대한다. 양식 자동화 장비, 육상 채묘 및 냉동망 시설, 친환경 유기수산물 인증 지원 등에 총 53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생산부터 가공·유통·수출까지 전주기 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성태 기자
밴드
URL복사
#전남도#케이김#물김생산#김산업#세계화#국가전략산업#글로벌수출#친환경양식#수산업#김클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