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AI특위, 의료AI 상용화 과제 점검…병원-기업 연계 강화 필요”

박종하 기자
입력
-AI기업·의료기관·연구자 등 40여 명 참석…현장 규제·데이터 문제 집중 제기 -도메인 특화 헬스케어 에이전트·데이터 특례·인허가 지원 요구 잇따라
광주시의회 AI특위가 AI기업·병원·연구자 40여 명과 헬스케어 AI 실증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광주시의회 AI특위가 AI기업·병원·연구자 40여 명과 헬스케어 AI 실증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가 헬스케어 분야 AI 실증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광주시의회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위원장 강수훈)는 18일 대회의실에서 ‘제3차 AI기업 조찬간담회’를 열고, AI 기반 헬스케어 실증 환경 구축 방향과 산업계의 현장 애로를 집중 점검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의료·AI 기업, 병원 관계자, 연구진, 정책 담당자 등 4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인허가 제도, 데이터 규제, 실증 수요, 병원-기업 연계 등 현실적 난제를 공유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발제자로 나선 박병훈 티쓰리큐 대표는 도메인 특화형 의료 AI 에이전트 전략을 제시하며 “병원들과 LLM 기반 의료 에이전트를 실증 중이지만, GMP·GS 인증 등 규제가 장벽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광주가 헬스케어 전주기 생태계(OS)를 선제적으로 구축해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의료 데이터 인프라를 둘러싼 지적도 이어졌다. 양국승 트래시스 대표는 “AI 도시 광주는 이제 데이터 도시로 전환해야 한다”며 개인정보 규제를 완화한 실증 특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철현 이스트소프트 전략실장은 “병원·기업 간 연결 고리가 아직 약하다”며 정부-기업-병원의 정례 간담회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 실증과 시민 참여 확대도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김주완 전남대병원 교수는 “헬스케어 AI는 결국 시민 데이터가 핵심”이라며 1·2차 의료기관 중심의 실증 확대를 요구했다. 송가람 라이프퓨쳐텍 대표는 “고령층·취약계층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실증 모델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 전주기 지원 체계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박종형 맨인블록 대표는 “광주만의 헬스케어 AI 브랜드가 있어야 기업이 모인다”며 인증·인허가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을 촉구했다. 정숙경 AI+SPSS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의료데이터 공유가 어려운 만큼 실증 특례 입법이 필요하다”며 AI반도체·로봇제어 등 광주 특화 분야 정책화를 주문했다.

 

광주시는 생체이식형·뷰티·디지털헬스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데이터·플랫폼·에이전트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 중이며, 올해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1단계를 완료하고 2단계 확장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강수훈 위원장은 “헬스케어는 AI가 시민 삶을 가장 먼저 바꾸는 분야”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광주형 AI 건강관리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AI특위는 산업별 조찬간담회를 이어가고 있으며, 오는 21일에는 ‘미래모빌리티 분야 AI 활용’을 주제로 4차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