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2030교실, 2026년까지 110개 구축…수업 혁신 본격화

[중앙통신뉴스]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2026년까지 ‘2030교실’ 110여 개를 추가 선정, 미래형 수업 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교사와 학생이 함께 수업을 재설계하고, 학교 현장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전남 수업 대전환’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2030교실’ 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격차 심화 등 전남 교육이 당면한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유아·초등·중등에 걸쳐 133개의 2030교실을 운영 중이며, 2026년에는 유아 30개, 초등 40개, 중등 40개 등 총 110여 개를 공모로 추가 선정할 방침이다.
새로운 2030교실 지원 정책은 기본형, 맞춤형, 지속형 등 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기본형에서는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와 더불어 전문 인력과의 협력, 국제 교류, 실시간 소통 등 첨단 교육환경을 조성한다.
맞춤형은 미네르바교실, 감수성교실, 꼬마시인교실처럼 교사의 교육 철학을 반영한 수업 브랜드 중심으로 이뤄지며, 학생들의 학습 다양성과 깊이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지속형은 학습공동체와 연구회, 수업 나눔 등 교사 간 성장과 학교별 수업 변화 확산을 지원한다.
전남교육청은 2030수업교사, 2030수업연구회 운영, 국내외 교육기관 및 학교와의 공동 수업 등 다양한 연구·교류 활동도 병행한다. 특히 2030교실 인증제를 도입, 우수 교실을 선정해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를 유도하고, 각 교사가 자신만의 수업 브랜드를 만들어 ‘수업 맛집 가이드 맵’도 제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교별로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구상이다.
오는 10일에는 전남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에서 ‘초등 2030교실 설명회’가 열린다. 현장의 교직원을 대상으로 운영방향, 우수사례, 신청 절차를 안내하고, 실시간 유튜브 중계도 병행한다. 관심 있는 교직원은 관련 공문이나 포스터 QR코드로 참여할 수 있다.
김대중 교육감은 “2030교실은 교사의 교육철학이 실제 수업에서 구현되는 공간”이라며 “전남 수업 대전환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