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 1,230억 투입 '기후위기 예방 인프라 대전환' 나섰다

[중앙통신뉴스]지난 7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었던 담양군(군수 정철원)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총 1,230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해 본격적인 재해 예방과 인프라 회복에 나섰다.
담양군은 하천, 도로, 농업 기반시설 등 핵심 공공시설의 전면 재설계를 시작했다. 223억 원의 공공시설 피해와 186억 원에 달하는 사유시설 피해를 재난관리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신속하게 집계했고, 중앙부처와의 협력으로 신속하게 복구비를 확보했다.
이번 복구재원은 공공시설에 1,167억 원, 사유시설에 63억 원이 배정된다. 특히 하천·도로 등 기반시설에는 829억 원 이상이 투입되며, 피해 주민의 실질적인 생활 안정을 위해 63억 원의 사유시설 재난지원금도 신속하게 지급됐다. 이미 3,400여 세대에 지원이 완료되어 주택, 상가, 농작물 피해 회복에 도움이 됐다.
행정예산뿐 아니라 ‘고향사랑기부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구 재원을 확보했고, 집중호우 직후 모금한 긴급기부도 1억 4천만 원이 넘게 모여 피해복구에 쓰이고 있다.
담양군은 단순한 복구를 넘어 ‘다시는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는 항구적 복원’을 목표로 삼고 있다. 반복 침수 지역은 하천 폭을 넓히고 제방을 높여 유수량을 크게 늘리는 한편, 침식 방지 콘크리트 옹벽과 생태블록을 동시에 설치해 재해의 원인을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농업용 수로는 더 넓게 확장하고, 펌프장도 정전 시 움직일 수 있도록 이중화 자동제어 설계를 적용하고 있다.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배수로 개선, 하천 정비, 농경지 배수시설 보강 등 실제 생활에 밀접한 복구 사업을 최우선으로 진행 중이다. 상습 침수 지역에는 주민 제안을 설계에 반영하고, 시공 단계부터 실시간 상황을 꼼꼼히 모니터링하며 피해 재발을 막는 데 힘쓰고 있다.
담양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하는 ‘담양형 재난관리 표준모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스마트 경보시스템, 마을 자율방재단 지원, 재난안전교육 등으로 사전예측과 신속대응, 사후개선을 모두 아우르는 체계적인 방재 시스템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철원 담양군수는 "이번 복구는 단순한 피해 회복에 그치지 않고, 담양을 재난에 강한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시작"이라며 "시민 제안과 행정력을 더해 1,230억 원을 투명하고 빠르게 집행, 피해 재발 없는 담양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