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주시교육청 브랜드송 컬러링 '논란'
사회

광주시교육청 브랜드송 컬러링 '논란'

박종하 기자
입력
수정
-시민단체 “성과 없는 홍보 쇼, 교육행정 정치적 중립 무너져”
-광주시교육청 “공익적 메시지 확산…최소 비용 합법 집행” 반박
-시교육청 “공익적 홍보 수단…예산도 최소, 선거와 무관”

[중앙통신뉴스]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의 ‘브랜드송 통화연결음 사업’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시민모임은 교육감 선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브랜드송 홍보를 명분으로 통화연결음을 사용하는 것이 자칫 선거용 홍보로 받아들여질 수 있고,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19일 발표한 성명에서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에 직원 휴대전화 통화연결음 사업을 하는 곳은 광주시교육청뿐”이라며, 성과 평가나 타당성 검토 없이 사업이 2년째 이어지고 있는 점을 문제 삼았다. 또 일부 지자체가 행사 홍보를 위해 잠시 운영하는 것과 달리, 광주시교육청은 이 사업을 상시로 진행해 목적이나 대상이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사업비 집행 과정도 도마에 올랐다. 2024년에는 참여 직원 137명을 대상으로 414만 3,830원이, 내년 8월 말까지는 직원 119명에게 320만 3,630원이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단순 홍보비라고 보기 어려운 액수이며, 예산 전용 의혹까지 나온다”고 비판하며 사업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은 19일 해명자료를 내고 “브랜드송과 청렴 메시지를 생활 속에서 공유하는 공익적 홍보일 뿐, 특정인을 위한 홍보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대부분 지자체 역시 지역 축제나 시정 홍보에 비슷한 방식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한 번 열고 마는 행사가 아니라, 교육적 가치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운영한다고 덧붙였다.

 

예산 집행과 관련해서도 “예산 전용이 아닌 정당한 재배정 절차를 거친 것이며,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했다”고 해명했다. 교육청은 “전체 홍보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작고, 적은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합리적인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선거용 홍보 논란에 대해서는 “모든 홍보물은 선거관리위원회 검토를 거치고, 공직선거법을 철저히 지키고 있다”며 선거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교육청은 “이번 사업은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응원하는 브랜드송과 청렴 캠페인 메시지를 시민들과 나누는 것이 목적”이라며, “교육 본연의 가치 확산을 위한 공익적 사업임을 시민들이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시교육청#브랜드송#컬러링논란#예산낭비#교육행정중립성#학벌없는사회#광주교육#이정선교육감#광주교육감선거#이정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