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학생 폭력 3년째 반복…전남교육청 ‘전담체계 부재’ 도마 위”

[중앙통신뉴스]전남지역 다문화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라남도교육청이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무대응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전라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3)은 지난 4일 전남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다문화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실태가 심각한데도, 전남교육청은 보여주기식 대책에 머무르고 있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도교육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다문화학생 피해자는 2023학년도 153명, 2024학년도 130명, 2025학년도(9월 기준) 77명으로 집계됐다.
이 의원은 “올해 9월 기준 피해 규모가 이미 전년의 60%에 육박한다”며 “연말까지는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교육청은 이를 제대로 분석하거나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과 신체폭력이 3년째 최다를 기록했으며, 사이버폭력 피해도 되풀이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남교육청은 전담 신고창구도, 통역 지원도, 전문상담 인력도 확보하지 못한 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태다.
특히 중학생 피해 비율이 전체의 절반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연령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나 전문상담사 배치조차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다문화학생이 가장 취약한 환경에 놓여 있음에도 행정은 여전히 ‘일반 학생 기준’의 일괄 정책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이는 구조적 방치이자 직무유기 수준”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대안으로 ▲학교폭력 통계의 다문화학생 분리 관리 ▲중학교 집중 관리체계 구축 ▲다국어 온라인 신고 시스템 마련 ▲전담상담 인력 확충 ▲사후 회복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영신 전남도교육청 교육국장은 “다문화학생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을 새로 마련하고 전문상담사 인원을 확대하겠다”고 답했으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나 일정은 제시하지 못해 ‘임기응변식 답변’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 의원은 “다문화학생들은 언어 장벽과 문화적 고립 속에서 침묵을 강요받고 있다”며 “교육청은 더 이상 숫자 보고서로 상황을 덮으려 하지 말고, 피해 학생 한 명 한 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보호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