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강기정 “이재명 대통령 결단으로 광주 군공항 이전 새 국면”

박종하 기자
입력
-대통령실·광주시·전남도·무안군, 중재안 공감…연내 6자 협의체 공식 출범 -무안 국가산단·호남고속철 연계·재원 확보 등 실무협의 본격화 -강기정 “광주·전남 상생, 호남 도약의 전기 마련”
광주 민·군공항 통합이전이 10년 표류 끝에 본격 추진된다. 대통령실·광주시·전남도·무안군은 정부 중재안에 공감하고, 올해 내 6자 협의체를 출범해 무안군 지원과 광주 민간공항 이전 로드맵을 구체화하기로 했다.사진: 광주시
광주 민·군공항 통합이전이 10년 표류 끝에 본격 추진된다. 대통령실·광주시·전남도·무안군은 정부 중재안에 공감하고, 올해 내 6자 협의체를 출범해 무안군 지원과 광주 민간공항 이전 로드맵을 구체화하기로 했다.사진: 광주시

[중앙통신뉴스]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사업이 10년 넘는 표류 끝에 본격적인 실행 단계로 진입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19일 서울 용산에서 열린 ‘대통령실-지자체 4자 사전협의’에서 대통령실과 전남도, 무안군이 정부 중재안에 대해 큰 틀의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대통령실 주관 군공항 이전 6자 협의체’의 사전협의로, 그동안 제기된 쟁점들을 논의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상호입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전협의 결과, 대통령실과 3개 지자체는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하고, 올해 내 6자 협의체를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특히 무안군 지원방안으로 국가산단 등 첨단산업 기반 조성 등을 적극 추진하고,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과 연계한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 이전, 주민지원사업 재정 확보 등도 협의했다. 

시는 이번 사전협의를 계기로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6자(광주시·전남도·무안군·기재부·국방부·국토부) 협의체에 적극 참여해 무안군 지원방안의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마련하고, 대통령실과 광주·전남·무안 3개 지자체 간 실무협의회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또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주 미래 먹거리 조성을 위해 국방부·기재부·국토부와 긴밀히 협력해 공적기금 활용, 금융비용 지원, 국가·공기업 참여 등 정부 차원의 실질적 재원 지원 방안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그동안 표류했던 군공항 이전이 드디어 현실적 논의로 옮겨졌다”며 “이번 회의는 상호 신뢰 속에서 대화를 이어간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과 김영록 지사, 김산 군수의 협력에 감사드린다”며 “6자 협의체를 통해 호남의 새로운 도약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민선8기 출범 이후 ▲군공항 이전 특별법 제정 ▲전남도-무안군 합의 ▲대통령 공약 및 국정과제 반영 ▲소음대책 토론회 개최 등민·군공항 통합이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왔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군공항이전#광주민군공항통합#무안군지원#대통령실협의체#광주전남상생#강기정시장#이재명대통령#호남도약#국제공항#광주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