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피한 행정” vs “신뢰 깨는 조급함”…광주공항 국제선 재개 '논란'

[중앙통신뉴스]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 과 광주시 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추진을 두고 뚜렷한 입장 차를 보였다.
박 의원은 “행정의 진정성과 실효성을 의심케 하는 조급한 판단”이라고 비판한 반면, 광주시는 “지역경제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맞섰다.
11일 열린 통합공항교통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박수기 의원은 “국토부가 불허 입장을 이미 밝힌 사안을 여건 변화 없이 반복 제기하는 것은 행정 신뢰를 스스로 훼손하는 일”이라며 “군공항 이전 TF 가동을 앞둔 시점에서의 임시취항 추진은 무안군·전남도와의 상생 신뢰를 흔드는 성급한 행정”이라고 직격했다.
박 의원은 “광주공항의 국제선 기능은 이미 2008년 무안공항으로 이관된 지 18년이 지났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보여주기식 임시조치가 아니라 무안공항 정상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또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8개월이 지났지만 정부의 후속대책이 미진하다”며, 광주시가 국토부를 상대로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 마련 ▲항행안전시설 개선 ▲피해 관광업계 지원 등 실질적 해결책을 요구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타 공항 연계 교통편 확대, 환승비 지원, 관광업계 긴급자금 지원 등 즉시 시행 가능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진정성 있는 행정”이라며 시정의 정책 우선순위를 문제 삼았다.
반면 광주시는 “무안국제공항의 폐쇄가 2026년 1월 5일까지 연장되면서 내년 3월까지 재개항이 불가능해졌다”며 “지역민 불편과 관광업계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은 한시적·불가피한 조치”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 임시취항은 군공항 이전 문제와는 별개의 사안”이라며 “무안공항이 재개항하기 전까지 닫힌 하늘길을 열어 시민들의 불편을 줄이려는 단기 대응책”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또한 “2월부터 무안공항 정상화 로드맵을 지속 요구했으나 국토부가 명확한 일정과 대책을 제시하지 않아 불가피하게 선택한 방안”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피해 관광업계 지원 용역이 국토부에서 진행 중이며, 타 공항 연계 교통비 및 여행상품 지원이 곧 추진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