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새 41배 급증한 온라인 암표…‘티켓베이’ 집중, 제재율은 5% 미만

[중앙통신뉴스]프로스포츠 온라인 암표 거래가 폭증하고 있지만, 정부의 제재는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 암표 의심사례 건수는 2020년 6,237건에서 2025년 259,334건으로 5년 새 41배나 급증했다.
특히 이번 수치는 8월 말 기준으로, 연말까지는 신고 건수가 더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폭증의 배경으로 2025년부터 외부 전문업체의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꼽았다. 이전까지는 수작업으로 암표 사례를 집계했으나, 올해부터 자동화 툴을 활용한 감시체계가 가동되면서 신고 건수가 크게 늘었다는 설명이다.
플랫폼별로 보면, 2025년 들어 ‘티켓베이’의 비중이 78.7%로 압도적이었다. 2021~2024년에는 ‘중고나라’가 암표 거래 주요 창구였지만, 올해 전체 32,013건 중 25,188건이 ‘티켓베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고에 비해 실제 조치율은 5% 미만에 그쳤다. 지난해 21,442건 중 조치된 건수는 989건(4.6%), 올해 역시 32,013건 중 1,875건(5.9%)에 불과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는 “좌석번호가 공개된 게시물만 제재가 가능해, 좌석정보를 숨기면 조치할 수 없다”고 밝혔다.
현행 국민체육진흥법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 예매’나 ‘정가 초과 재판매’만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간 웃돈 거래나 트위터·SNS를 통한 신종 암표 거래는 사실상 단속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민형배 의원은 “암표 거래는 문화 향유 기회를 돈으로 사고파는 행위로, 결국 서민층의 접근권을 제한하는 민생범죄”라며 “SNS 등으로 진화하는 신종 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실질적인 모니터링 시스템과 제재 근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