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주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전 기획연구 용역 착수
사회

광주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전 기획연구 용역 착수

윤 산 기자
입력

- 강기정 시장, 대통령 타운홀미팅서 요청 ‘신도시’ 국정과제 반영
- 1조5000억원 대형 프로젝트…첨단 모빌리티 도시 생태계 구축
- 시‧국토부 공동 연구용역 착수‧전문가 자문단 운영 등 밑그림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중앙통신뉴스]대한민국 최초로 로봇·드론 등이 일상이 된 미래도시가 광주에 들어설 전망이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자 국정과제로 공식 채택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위한 사전 기획연구 용역에 착수한다.

 

이 사업은 지난 6월 강기정 시장이 이재명 대통령 주재 타운홀미팅에서 “직·주·락(職住樂)이 결합된 신도시와 규제프리존·메가샌드박스 기능을 수행하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필요하다”고 건의해 국정과제로 채택됐다. 단순한 신도시 개발을 넘어서는 혁신적 미래형 복합신도시 건설을 위한 것으로, 총 1조5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다.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등 첨단 모빌리티 인프라와 인공지능(AI) 통합관제시스템을 갖춘 미래형 복합 시범도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규제프리존과 테스트베드를 조성해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실증하고, 시민의 이동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시범도시 내에 주거·문화·휴식 기반시설을 갖춰 일과 삶이 공존하는 첨단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구개발(R&D) 연구소·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인공지능(AI) 기업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후보지는 인공지능(AI) 인프라 접근성, 미래차산업 연계성, 교통 편의, 주거 여건 등을 종합 검토해 선정할 예정이다.

 

광주시가 제안한 공동연구를 국토부가 수용하면서 광주시와 국토부는 2억원 규모의 공동 사전 기획을 통해 올해 안에 큰틀에서 밑그림을 완성할 예정이다. 2026년 기본구상 용역을 추진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며 2028년 착공, 2030년 말 준공이 목표다.

 

건축, 도시계획, 도로, 자동차, 로봇, 물류, 인공지능(AI)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해 기업 수요 반영, 실증 규제 발굴, 모빌리티 친화적 인프라 설계 등을 추진한다.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광주시는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와 연계해 제조업, 물류 등 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는 피지컬 인공지능(AI) 미래차산업 육성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는 주력산업 혁신으로 4대 제조강국 실현이라는 산업부 국정과제 이행계획에 피지컬 인공지능(AI) 기반 미래차 산업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반영하고,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용역비를 확보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국토부의 도시 인프라와 산업부의 제조업 피지컬 인공지능(AI)은 상호 분리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계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미래 모빌리티 대표 도시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한민국 인공지능(AI)을 선점한 광주에 미래도시인 AI 모빌리티 신도시가 건설된다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며 “이재명 정부와 함께 지금껏 그 누구도 누리지 못한 첨단기술과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에 펼쳐지는 새로운 삶을 선물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이어 “이번 국정과제 반영 및 사업 추진은 국토부가 광주의 어젠다를 국가정책으로 공식 채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RE100 에너지고속도로와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광주를 기업하기 좋고, 살기 좋은 미래도시로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 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광역시#강기정시장#ai모빌리티#국가시범도시#이재명대통령#신도시#테스트베드#미래형 복합신도시#규제프리존#re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