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오월 광주’서 ‘세계 인권도 신포럼’ 개막.. 강기정 시장, ‘평화’와 ‘민주주의 회복’ 강조
사회

‘오월 광주’서 ‘세계 인권도 신포럼’ 개막.. 강기정 시장, ‘평화’와 ‘민주주의 회복’ 강조

윤 산
입력
▲사진 왼쪽부터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대훈 (사)피스모모평화/교육연구소장, 서승 우석대학교 석좌교수,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신수정 광주시의회의장, 신형석 (사)국민주권연구원장,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장, 크리스토프 호이저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장, 파르하나 빈테 지가르 파리나 방글라데시 민주주의학생위원회 중앙위원회 조직위원ⓒ광주광역시
▲사진 왼쪽부터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대훈 (사)피스모모평화/교육연구소장, 서승 우석대학교 석좌교수,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신수정 광주시의회의장, 신형석 (사)국민주권연구원장,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장, 크리스토프 호이저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장, 파르하나 빈테 지가르 파리나 방글라데시 민주주의학생위원회 중앙위원회 조직위원ⓒ광주광역시

[중앙통신뉴스] 15일, 광주에서 열린 ‘2025 세계인권도시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 평화와 민주주의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전 세계 인권 전문가들이 모여 전쟁과 폭력에 맞서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광주광역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유네스코(UNESCO),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공동 주최하며, 1500명의 인권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강기정 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대한민국 민주시민들은 맨몸으로 장갑차를 막아서고, 맨손으로 총구를 움켜쥐며 가장 위헌적인 내란세력을 가장 민주적인 방법으로 막아냈다”고 언급하며, 5·18의 유산이 오늘날의 민주주의를 이끌어냈음을 강조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을 이겨낸 오늘의 민주주의는 45년 전 5·18의 유산이다”라며, 과거의 광주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구했다고 말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강 시장은 이어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더 단단해질 것이다”라며, 전 세계가 전쟁과 폭력으로 고통받고 있는 현실 속에서도 더 큰 사랑과 희망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어떤 전쟁과 폭력도 반대하며, 평화와 혁명을 함께하는 전 세계 인권도시들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한, “더 이상 고통 속에 신음하는 일이 없도록 지구촌의 평화와 공존을 위해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가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서승 우석대학교 석좌교수는 ‘저항의 도시로 우뚝 서는 광주’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1980년 5월 신군부에 맞서 싸운 광주시민의 분노와 저항을 조명하며, “광주는 인류사에 ‘권력에 저항한 도시’로 오래 기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모든 자유와 인권, 민주주의와 화해 정신까지 모두 5·18정신이 아우르고 있으며, 세계인권도시선언까지 한 광주는 세계인권의 정수를 총망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회의에서는 동물행동학자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가 ‘반평화적 상황과 인권공동체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그는 인권, 생태, 평화의 접점을 짚으며 생물다양성과 인권이 교차하는 시대의 비전을 제시했다. 신형식 ㈔국민주권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이대훈 ㈔피스모모 평화교육연구소장, 제임스 히넌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장, 크리스토프 호이저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한국사무소장, 파르하나 빈테 지가르 파리나 방글라데시 민주주의학생위원회 중앙위원회 조직위원 등이 평화구축 연대방안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다.

 

이외에도 주제회의, 특별회의, 네트워크 회의, 국제인권연수 등을 통해 다양한 인권 쟁점을 다룬다. 주제회의는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경제 ▲어린이·청소년 ▲장애 ▲이주 ▲여성 ▲마을과 인권 ▲지구촌 반폭력 등 7개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별회의에서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해 국가폭력 등 다양한 폭력에 저항해 온 항쟁도시 사례를 공유한다.

 

또한, 유네스코 아태 지역 차별반대도시연합(APCAD) 회의와 인권논문 발표 등이 이어진다.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16일 오후 1시 30분에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필독도서로 선정된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의 저자 차인표 작가의 북토크콘서트가 열린다. 17일 오전 10시에는 ‘이영미의 평화밥상’의 저자 이영미 작가의 원데이 클래스 ‘모두를 위한 평화밥상’이 진행된다.

 

신청 및 세부 일정은 세계인권도시포럼 공식 누리집(www.whrcf.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포럼이 전 세계 인권도시들이 평화와 연대를 위해 함께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윤 산 기자
#강기정시장#오원광주#세계인권포럼#2025 세계인권도시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