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 항저우와 ‘AI 혁신’ 우호 협력…글로벌 인공지능 중심 도약

박종하 기자
입력
항저우 ‘육소룡’ 인재·기업 성장 노하우, 광주에 적용 본격 모색

[중앙통신뉴스] 광주시가 ‘육소룡’을 탄생시킨 중국 AI 산업의 심장부인 항저우와 우호 협력 기반을 마련하며, 글로벌 AI 혁신 도시로의 도약을 예고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중국 저장성에서 루산 부성장 등 관계자를 만나, 중국 정부의 AI 성장 전략과 항저우의 유니콘 기업 육성정책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면담에서는 인프라·인재·기업이 집적된 AI 생태계와 국가 주도의 초거대 컴퓨팅센터 등을 중심으로 기업 성장과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강 시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기업을 위한 정책과 창업 전 과정을 지원하는 항저우의 시스템은 광주가 지향하는 미래혁신의 길"이라며 "광주시는 AI 2단계 사업, 1조원 규모 창업펀드 등 혁신 생태계 구축을 통해 ‘모두의 AI’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루산 부성장은 딥시크, 알리바바 등 항저우에서 성장한 혁신기업 사례를 언급하며 "광주시와의 우호 협력이 미래 AI 산업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강 시장은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 환영 만찬에도 참석해 국제 교류의 폭을 넓혔다. 특히 야오가오위안 항저우 시장과 만나 산업·경제 교류를 확대하는 우호도시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으며, 두 도시는 실무 협의를 거쳐 조만간 우호도시 협정 체결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광주시는 AI 1단계 사업으로 4,269억원을 투입해 인프라-인재-기업 생태계를 구축했으며,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AI 영재학교와 대학원 등 인재양성 시스템으로 160여 개 AI 기업을 유치했다. 창업펀드 조기 목표 달성 및 실증 지원 사업을 통해 실질적 창업 성공률을 높이고, AI 산업 고도화와 글로벌 표준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광주시 대표단의 항저우 방문으로, 광주시는 글로벌 AI 협력 교두보를 확보하고, 향후 AI 산업 혁신을 위한 다양한 교류·협력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한편, 3박4일 중국 방문 일정을 이어가고 있는 강기정 시장 등 광주시 대표단은 25일(현지시간)에는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에 참가해 최신 인공지능(AI) 기술 동향 파악과 혁신기업 면담 등을 이어간다. 

 

대표단은 또 ‘딥시크’ 창업자 량원평의 모교로 유명한 중국의 대표적 인공지능(AI) 기술인재 육성 대학인 저장대학교 총장 등을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항저우#인공지능#ai협력#우호도시#ai혁신#창업ai유니콘펀드#글로벌산업#광주시정#강기정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