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적십자병원, 11년 만에 개방... 역사 문화 관광 콘텐츠로 확장
-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지…역사문화관광 콘텐츠 확장

5·18민주화운동의 상징적 공간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5월 3일부터 31일까지 11년 만에 대중에게 공개된다. 광주광역
시는 이번 개방을 통해 역사적 의미를 되살리고, '소년의 길'과 연계한 역사문화 관광 콘텐츠로 확장할 계획이다. 해당 병원은 5·18 당시 부상자들의 치료와 자발적 헌혈이 이루어졌던 중요한 장소로, 1996년부터 서남대학교병원으로 운영되다 2014년 문을 닫았다.
이번 개방은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기념하여 이루어지며, 관람객의 안전과 관람 효율성을 고려해 전면 주차장, 응급실, 1층 복도, 중앙현관, 뒷마당 등으로 제한된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오후 1시 30분 이후에는 5·18기념재단의 '오월해설사'가 상주하여 무료 해설 서비스를 제공한다.
광주시는 2020년 7월 이 사적지를 매입하여 보존하고 있으며, 관련 단체와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통해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특히, '2025 광주방문의 해'를 맞아 이 역사적 장소의 중요성을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널리 알릴 예정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지 중 하나인 이곳은 광주관광공사의 '소년의 길' 특화 관광상품과 5·18기념재단의 '오월길' 해설 프로그램과 연계될 예정이다. 또한, '멈춘 공간의 이야기,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주제로 한 개방 기념 전시회가 5월 3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다.
전시에는 5·18 당시의 헌혈 장면과 부상자 치료 모습을 담은 사진, 병원의 역사, 관계자 증언이 담긴 영상자료 등이 포함된다. 관람객들은 역사적 공간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미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체험형 콘텐츠도 경험할 수 있다.
광주시는 개방행사 종료 후 관람객의 반응과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유휴공간의 지속 활용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단체, 전문가, 시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관련 건물과 부지 전체에 대한 중·장기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국비 확보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박용수 민주인권평화국장은 "5·18 사적지를 통해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시민과 공유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며, "이번 전시가 기억과 공감, 참여를 이끄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