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푸드 글로벌화 속 유럽 오표기 사례 급증

박종하 기자
입력
-“김치는 한국의 발효문화… ‘일본 김치’ 표기는 오해 키운다” -유럽 유통채널에서 김치류 제품의 원산지·문화표현 오류 잇따라
▲유럽의 한 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치소스'   ⓒ서경덕 교수
▲유럽의 한 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치소스' ⓒ서경덕 교수

[중앙통신뉴스]유럽의 한 마트에서 일본 기모노를 입은 여성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김치 소스'가 판매되어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언론 보도자료를 통해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며 "이런 '김치 소스'가 판매되면 자칫 유럽인들에게 일본 음식으로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서 교수는 "한국의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는 엄연히 다른 음식인데, 중국어로는 '泡菜'(파오차이)로 번역을 해 놨다"며 "제품의 출처를 알아보니 스페인 업체"라고 전했다.

 

최근 독일의 '국민마트'로 불리는 알디(ALDI)에서 자사 홈페이지에 '김치'를 '일본 김치'로 소개해 큰 논란이 됐다.

 

과거 이 업체는 김치 제품에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로 '중국에서 기원' 했다는 문구가 쓰여져 있어 많은 질타를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이러한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건 유럽인들이 아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K푸드가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고 있는 지금, 이런 잘못된 표기와 디자인은 당연히 바꿔 나가야만 할 것"이라며 "내년부터 '한식 세계화 캠페인'은 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치#한식세계화#k푸드#김치소스논란#유럽유통#aldi#원산지표기#식문화오해#서경덕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