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영광군의회, 일부 의원 일탈에 군민 우려 증폭
사회

영광군의회, 일부 의원 일탈에 군민 우려 증폭

박종하 기자
입력
사진:영광군의회
사진:영광군의회

[중앙통신뉴스] 전남 영광군의회가 일부 의원들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군민들의 원성을 사는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의회는 '현장 중심 의정'과 '소통하는 의회'를 내세우고 있지만, 의원사업비 편성과 무책임한 의정 리더십은 단순한 일탈을 넘어 지방정치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결과적으로 군민을 기만하는 정치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영광군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48건의 사업에 총 96억 원의 의원사업비를 배정했으나, 특정 업체의 반복 수주와 일부 의원과의 유착 관계가 여러 차례 포착되었다. 이로 인해 몇몇 의원의 영향력으로 읍면 사업의 왜곡된 배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개입찰을 회피한 수의계약 방식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의원들이 특정 업체를 지목하고, 업체는 의원에게 줄을 서는 불건전한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작 당사자인 군민은 완전히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의원사업비는 의원 1인당 10억에서 15억 원 규모로 자율 배정되며, '민원 해결'이라는 미명 아래 암묵적인 이권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원사업비 운영 방식을 그대로 둘 수 없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한 의원은 학교폭력 민원 개입 논란과 명품 가방 수수 의혹, 특정 지역에 대한 편향적 발언으로 정치적 미성숙과 도덕적 결함에 대한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주민 A 씨는 "군의원 명함이 특권과 면죄부의 수단이 되어버렸나? 더는 이들을 '의원'이라 부르기 부끄럽다"며 강한 비판의 뜻을 표했다. 

 

영광군의회는 이제라도 제도와 윤리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하며, 지방자치가 의원 개인의 사유물이 아닌 군민의 권리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정치가 특권이 아닌 엄중한 책임이라는 성찰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영광군의회#수의계약#일탈#군의원#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