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의료, 교통, 돌봄 등 일상 곳곳에 AI 혁신을..'모두의 AI 광주' 비전 선포"
- 교육·의료·교통·돌봄 등 일상생활 전반 AI 혁신 도시로 도약
- ‘자율주행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첫 공개…AI 21개사와 MOU
-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대한민국 인공지능 심장으로”
- 강기정 시장 “시민 삶·행정·산업 확실히 바꿔 모두의 자산으로”

[중앙통신뉴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와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단장 오상진)이 11일 첨단3지구 인공지능집적단지에서 교육, 의료, 교통, 돌봄 등 일상 곳곳에 AI 혁신을 더해 광주의 인공지능 중심도시 도약 비전을 제시하는 ‘모두의 AI, 광주’ 비전을 선포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자율주행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가 처음 공개됐으며, 반도체·AI 분야 21개 기업과의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또,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광주에 유치해 대한민국 인공지능의 중심지로 거듭난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날 선포식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로 시작되는 6,000억 원 규모 ‘인공지능 2단계 사업’을 배경으로, 시민들의 일상과 여러 산업이 어떻게 AI를 통해 변화할지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로, 강 시장을 비롯해 시의회, 대학 총장, 경제계 인사, 기업 관계자,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행사는 자율주행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첫 선을 비롯해 AI 성과와 2단계 사업 비전 발표, 21개 기업과의 유치 업무협약, 그리고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를 위한 시민 결의 퍼포먼스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비전 발표에서는 2단계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시민이 일상에서 직접 경험하게 될 AI 변화가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AI 놀이터와 교통 시스템, 대중교통 최적화, AI 청소로봇, 24시간 AI 민원 비서, AI 민주주의 플랫폼, AI 돌봄·주치의, 맞춤형 AI 문화콘텐츠, AI 안전 보안관 등 다양한 서비스가 소개됐다.
이날 협약을 맺은 21개 반도체·AI 기업은 앞으로 광주에 둥지를 틀거나 사무소를 열고, 지역 AI 산업 발전과 인재 양성에 함께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에 지원한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와 관련해, 광주시는 이번 퍼포먼스를 통해 시민의 단합된 의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줬다.

강기정 시장은 “대한민국이 AI 선도국이 되기 위해 가장 빠른 길은 인프라, 인재, 기업이 집약된 광주를 인공지능 중심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이라며 “‘모두의 AI’ 실현에 박차를 가해 시민의 생활과 행정, 산업까지 확실하게 변화시키겠다. 광주의 AI는 일부가 아닌 모든 시민의 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광주가 인공지능 중심도시로 자리잡으려면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가 시급하다. 단순한 시설 그 이상으로, 1,000개 기업과 1만 개 청년 일자리가 생기는 기회이기도 하다”며,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 광주의 도전에 시민 모두가 함께해 달라”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이날 선포식을 시작으로 인공지능 2단계 사업 추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가 인공지능집적단지 지정과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추진하고, AI 영재고등학교 설립 등으로 인공지능 중심도시 위상을 확고히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