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banner
logo
"출산율 반등" 보성군 출산장려정책 전국적 주목
bannerbanner
뉴스
지방자치뉴스

"출산율 반등" 보성군 출산장려정책 전국적 주목

박종하 기자
입력
보성군, 인구 반등 현재 진행 중..출산‧청년‧정착 지원 총력
aafd9b92631cc3f8f502d83a84e77814
2024년 보성 녹차골 향토시장 BS청춘마켓 개장 ⓒ보성군
[중앙통신뉴스] 전남 보성군(군수 김철우)이 2023년 1월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정책과를 신설하고, 전략적인 인구정책을 펼쳐 인구 감소율 둔화와 출산율 상승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한때 18만 명에 달했던 보성군의 인구는 2024년 말 기준 3만 7천 명으로 감소했지만, 출산율 반등과 청년 정착 지원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며 인구 감소세가 둔화하고 있다. 특히, 전남 대부분의 시군이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가운데, 보성군은 출산율 증가와 청년 정착 유도 사업의 성공으로 전국 지자체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 

보성군은 출산 장려 정책과 청년 정착 프로그램의 효과로 인구감소율을 2%대에서 1.7%로 둔화시키며, 인구 감소 추세 반전에 성공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군은 출산율 증가를 위해 출산장려금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실질적인 양육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첫째아 600만 원, 둘째아 720만 원, 셋째아 1,080만 원을 지급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1세~18세까지 매월 20만 원씩 지급하는 ‘출생기본수당’을 도입해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있다.
eb69421efbbe29564d209f11443e6576
지난해 3세대 차 후계농과 간담회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는 김철우 군수 ⓒ보성군
또한, 부모 급여, 아동수당, 산후 조리비, 난임부부 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출생아 1인당 최대 1억 1천만 원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보성군의 출생아 수는 2022년 81명에서 2023년 103명, 2024년 117명으로 2년 연속 증가했으며, 합계출산율도 2022년 0.79명에서 2024년 1.20명으로 상승해 전남 22개 시군 중 19위에서 8위까지 올라섰다.

보성군은 청년층 유입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실질적인 주거 안정을 위해 신혼부부를 위한 이사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벌교읍에 ‘전남형 만원 주택’을 도입해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낮추는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청년마을 조성사업’을 2023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청년 정착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고 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디지털 혁신 및 탄소중립 일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 산업에 대응하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5f444be6ee0a67ac096a04aa6fe1aea3
제암산 자연휴양림 안심 어린이 놀이터 ⓒ보성군
문화·교육 분야에서도 청년 네트워크 조성과 청년 문화축제 개최를 통해 지역 내 청년들의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고, 온라인 화상 영어 교육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청년 농부 연구모임을 활성화하고, 영농 정착을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청년들의 농업 분야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또한, 보성군은 ‘농산어촌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가정의 전입을 유도하며, 깨끗한 자연환경과 지역 학교 교육을 연계해 아이와 부모가 함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문덕면은 3년 연속 인구 증가를 기록하며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의 성공 사례로 자리 잡았다.

특히, 보성군의 인구정책은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청년 유입, 정주 여건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까지 종합적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출산 장려뿐만 아니라 청년과 가족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보성군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a1f0a85190fe947d7f94738760196295
지난해 개최된 ‘제1회 녹차수도 보성 다 청년 페스티벌’ ⓒ보성군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종하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
bannerbanner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