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강기정 광주시장,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계획 정부에 요구
박종하 기자
입력
가
그는 계엄과 여객기 참사로 인해 민·군 통합공항 이전과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서남권 관문공항 조성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조치를 통해 "24시간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공항"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정부에 '서남권 관문공항 로드맵'과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운항'을 공식 건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무안국제공항이 언제, 어떤 조치를 통해 재개항할지를 밝혀야 하며, 시·도민이 요구하는 서남권 관문공항으로 도약하기 위한 단계적 추진계획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무안공항이 광주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항인 만큼, 광주시는 더욱 책임 있는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또한, "김영록 전남지사가 광주·전남 공동 발전을 위해 민·군 공항 동시 이전 문제를 하루빨리 매듭짓자고 언급한 것처럼, 전남도와 무안군도 이전과는 다른 각오로 임해주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참사를 딛고 일어설 공항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결단과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전남도와 무안군의 적극적인 협력을 촉구했다.
광주시는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타격을 입은 관광업계의 위기 회복과 지역민의 항공 접근성을 고려해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운항'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다. 강 시장은 "참사로 무안공항이 장기 폐쇄되면서 지역민의 글로벌 접근성이 차단되고, 관광업계는 여행 취소 2만900여명, 매출 손실 300억원의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 요구에 따라 국제선 임시운항을 정부와 국회 특위에서 적극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참사 이후 지역사회의 안전과 안심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며,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촉구했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종하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