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방자치뉴스
영암 통합돌봄에 ‘응급 대응’ ‘안전망 구축’ 등 시급
박종하 기자
입력
가
10일 군에 따르면 지난 6일 가야금산조기념관에서 열린 보고회는 영암군민이 살고 있는 곳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으며 자립 생활을 유지하도록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하고, 2026년 3월로 예정된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을 영암군이 선도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영암형 모델 구축의 전단계로, 전남사회서비스원이 조사한 실태조사가 발표됐다. 지난해 10월29일~2025년 2월28일 기간, 지역 75세 이상 어르신과 등록장애인 700여 명을 대상으로, 자립 생활을 위해 필요한 욕구 및 지원 사항 등을 설문, 심층 인터뷰로 조사한 내용이었다. 실태조사 결과 어르신들은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 위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서비스로 △응급발생시 구조연계지원 △이동지원 △가족부재시 돌봄 △정기적 안부 확인 등을 꼽았다.
장애인들은 같은 항목에 ▲응급발생시 구조연계지원 ▲주기적 건강검진 ▲이동지원 ▲주기적 치과 치료 ▲맞춤형 영양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밖에도 전남사회서비스원은 만성질환 보유 노인·장애인 비율이 높은 상황을 알리고, ◇의료접근성 제고 및 이동지원 ◇정서적 돌봄 및 정신건강 지원 ◇돌봄의 다양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한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해 올해 통합돌봄추진단을 신설한 영암군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반영해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하고, 통합돌봄지원단을 콘트롤타워로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통합돌봄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종하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