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문화
완도선 발굴 40주년..‘해양 실크로드 국제학술대회’ 성료
박은정 기자
입력
가
국내외 전문가들, 한선 연구의 미래·활용 방안 논의

1984년 전남 완도군 약산면 어두리 앞바다에서 발굴된 완도선은 우리나라 최초의 수중 발굴 한선(韓船)이자 고려청자 3만여 점이 함께 출수된 독보적인 유물로 해양 유산의 상징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완도선 발굴 40주년을 기념하며 완도선의 역사적 의의와 미래 활용 가능성 등 가치를 재조명하고, 한선 연구 발전 방안 및 수중 문화유산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신우철 완도군수와 지민, 박병수, 조인호, 허궁희, 조영식 완도군의원,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재)민족문화유산연구소, 국립목포대학교, 완도문화원, 호림박물관, (재)세종문화재연구원 대중고고학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최신 기술의 발달로 한선 복원 및 연구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한선 연구와 구조 복원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또한 고려청자가 공납용이 아닌 상업 유통의 일환으로 전남 서남해안에서 경상도 지역으로 활발히 거래된 사례를 통해 당시 완도가 지방 상업 네트워크의 중심지로 기능했음을 재조명했으며 대만 수중 문화유산 관리와 일본의 수중고고학 연구 및 유적 활용 사례는 완도선의 보존과 관광 자원화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해양 유산 연구 방향을 논의했으며, 완도선을 활용한 관광 자원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들이 오갔다.
군 관계자는 “학술대회를 계기로 완도 지역의 해양사적 유산을 적극 계승하며 장보고 시대의 찬란한 해양 문화를 연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으며,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에서는 “앞으로도 국민이 해양 유산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의 장을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은정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