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보건복지부 입맛대로 연금개혁안 설문조사 문항 조작
박종하 기자
입력
가
전진숙 의원 "연금개혁안의 긍정, 부정 효과 소상히 알리고 재조사 필요"
보건복지부는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을 통해 2024년 8월 16일부터 8월 29일까지 ‘국민연금 제도 개혁에 대한 가입자 인식 및 동의 수준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은 전국 20~59세 남녀 국민연금 가입자 2,81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소요예산은 2,980만원이었다.

먼저,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설명자료에서 초안은 국민연금제도가 ‘국민을 보호하고 빈곤을 해소하는 국가사회보장제도’이며,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국민들이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제도’라고 기술했다. 하지만 최종안에서 이러한 문장은 모두 삭제되었고, ‘2055년경 적립금이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문장이 추가되었다. 노후소득보장강화에 대한 설명은 빠지고 재정안전성만 강조된 셈이다.
제도 설명 후 이어진 “ 어떤 방향으로 개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는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혁이 51.8%로 노후소득보장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해야한다(45.6%)는 의견보다 많았다.

초안에서는 자동안정화장치의 예시로 ‘가입자 수가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보험료율을 낮추는 경우’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거나 보험료 수입이 줄어드는 경우 급여수준을 축소 지급하는 경우’를 함께 설명했으나 최종안에서는 “인구가 고령화되고 출생률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자동으로 연금액을 조정하여 줄이는 ‘자동 안정화 장치’를 일부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다.”는 전제를 먼저 설명하고 ‘매년 자동으로 연금액을 조정’한다고 완화하여 표현했다.
또한 자동안정화장치 도입하면 생애 총 급여가 약 17% 삭감된다는 국민연금연구원의 연구용역 자료가 있었는데도 이러한 단점은 설명자료에 전혀 들어있지 않았다.
이어진 자동안정화장치 도입을 묻는 설문조사에서는 도입을 동의하는 비율(67.4%)가 동의하지 않음(32.6%)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세대별 보험료율 인상 차등화 도입’을 묻는 질문에도 동의(65.8%)한다는 답변이 동의하지 않는다(34.2%)는 답변의 두배에 가까웠다.
이에 대해 전진숙 의원은 “국민의 노후소득보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연금개혁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이렇게 편향적으로 진행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설문조사 문항을 조작하여 정부의 입맛대로 여론조사를 왜곡한 담당자를 찾아서 반드시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는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자동조정장치’, ‘세대간 보험료율 인상속도 차등화’를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종하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