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얀마 국민에게 희망(希望)을..광주광역시의 지원이 민주주의의 작은 희망 불씨 될 것
오피니언

미얀마 국민에게 희망(希望)을..광주광역시의 지원이 민주주의의 작은 희망 불씨 될 것

박종하 기자
입력
d70eab3ef1d27b9500ffc3392669bd6a
사진설명: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지난 3월 21일 오후 시청 소회의실에서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출신 근로자와 유학생 등을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중앙통신뉴스] 비공식 통계지만 미얀마 군부에 의해 숨진 미얀마 시민들의 숫자가 300명을 훌쩍 넘어서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마치 1980년 5월 빛고을 광주에서 벌어진 피로 물들였던 광주의 5월을 보는 듯하다.

미얀마 수도인 양곤은 유혈이 낭자하고 민주주의를 외치는 미얀마 국민들을 향한 군부의 총부리는 이미 국민들의 심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하지만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는 이 엄중한 살인행위에 선 듯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이 있어서다.

유엔 안보리는 미얀마 사태와 관련, 군부에 경고의 메시지를 남기며 무고한 시민에 대한 살인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지만 미얀마 군부는 눈 하나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자국에 대한 내정간섭이라는 것이다.

미얀마 군부는 언론보도를 통제해 언론의 기능은 중단됐다. 게다가 미얀마 사태를 취재하는 외신 기자들에 대한 불법 체포와 감금도 이어지고 있는 말 그대로 생지옥이 따로 없다는 게 외신 기자들의 전언이다. 간간히 sns를 통해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만 있을 뿐이다.

단지 개별 국가들의 미얀마 군부에 대한 제재조치만 잇따르고 있을 뿐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일, 성명을 통해 “미얀마 군과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을 규탄하며,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비롯해 구금된 인사들의 즉각 석방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미얀마 국민들에 대한 폭력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 더이상 인명의 희생이 있어서는 안 될 것”라며 “민주주의와 평화가 하루속히 회복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정부도 미얀마에 대한 대응조치의 하나로 △국방·치안 분야 신규 교류와 협력 중단 △군용물자 수출 금지 △산업용 전략물자 수출 엄격 심사 △미얀마에 대한 개발 협력 사업 재검토 등 내용을 담은 제재에 나섰다.

물론 개별 국가가 미얀마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와 함께 군부에 경고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미얀마 군부의 살인행위는 연일 수위를 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도 국제사회가 나서줄 것을 촉구하는 1인 시위에 동참하는가 하면 우리나라 인권단체와 종교단체들도 미얀마 군부의 만행을 규탄하는 시위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에 우리국민이 엄중하게 보는 이유도 40년 전 우리의 현대사(現代史)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찬탈하려는 극악무도(極惡無道)한 군부의 살인행위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것을 세계 역사와 광주민주항쟁은 증명하고 있다.

특히 40년 전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광주시는 우리나라 단체장으로는 처음으로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출신 근로자와 유학생 등을 초청해 간담회를 갖고 시와 시민사회 차원의 지원방안을 모색에 나선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당장 지자체 차원의 제재방안이 없는 상황이 안타깝이는 하지만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출신 거주자들이 겪고 있는 경제적 지원도 이들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얀마 국민들의 민주화 투쟁에 대해 직접 지원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처럼 인도적 차원의 지원은 그들에 희망의 빛을 잃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지원일수 있어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많은 미얀마 국민들에게 관심을 표하고, 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때다. 우리도 그들과 같은 참혹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피로 물 들었던 광주의 5월, 수많은 희생에도 불구하고 군사정권과 맞서 기필코 민주주의를 쟁취했던 것과 같이 미얀마에서도 미얀마 국민의 희생이 헛되지 않기를 본지(本紙)를 비롯해 우리 국민 모두가 희망해 본다. 미얀마 국민들의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을 지지하면서 말이다.





-Copyright ⓒ중앙통신뉴스 ikbc.net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