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노총 광주본부의 ‘광주형일자리 협약 파기’ 선언에 ‘지역 여론 싸늘‘
사회

한국노총 광주본부의 ‘광주형일자리 협약 파기’ 선언에 ‘지역 여론 싸늘‘

박은정 기자
입력
- GGM 일부 임원 사퇴와 노동이사제 도입

71a180462684c6fd81c49a51627ebe62

▲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광주형일자리 사업' 협약 파기와 참여중단 선언

 

[중앙통신뉴스]한국노동조합총연맹 광주지역본부가 2일 오후 광주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6년 동안 광주시와 함께한 광주형일자리 사업 참여중단과 협약 파기를 공식 선언한다"고 밝혀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자동차 사업의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이들은 “이 시장이 '노사상생발전 협약서'를 먼저 파기했기 때문"이라고 책임을 전가했으며, "광주시는 투명하지 못한 협상, 공정하지 못한 거래, 비상식적인 인사를 추진했다. 광주시의 재정 파탄과 고용 참사를 시민 여러분께서 막아달라"고 주장했다.

 

특히, 민주노총에게 "힘을 합한다면 이용섭 시장의 불통과 비민주적 행정을 바로잡을 수 있다. 함께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합의문을 지금까지도 감추고 있는 것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우리는 특별한 내용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럼에도 이용섭 시장이 꽁꽁 감추고 있는 것은 지나칠 정도로 현대차에 의지하는 광주시의 무능과 전략 부재 탓이다. 한마디로 현대차의 전략에 말려 꼭두각시가 됐다"고 짚었다.

 

이어 "광주글로벌모터스의 임원들은 비전문가로 자격미달"이라며 "박광태 대표이사는 배임, 횡령으로 유죄까지 받았던 사람"이라고 따졌다.

 

하지만, 여론은 한국노총 광주본부의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다는 반응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와 젊은이들의 일자리 창출도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광주형 일자리정책의 지향점은 노사는 물론 지역주민과 지자체 모두의 상생이었기 때문이다.

 

이날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 협약 파기와 참여중단을 선언하며 여러가지 이유를 댔지만, 글로벌모터스(GGM) 일부 임원의 사퇴와 '노동이사제' 도입 요구가 직접적 배경으로 보인다. 노동조합의 정치적 판단에 의한 극단적 선택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1월31일 맺었던 투자협약과 상생협정서의 원칙은 △적정임금 △적정노동시간 △소통·투명 경영 △동반성장과 상생협력 등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노조와 광주시의 협상은 지속됐지만 한노총 광주본부의 노동이사제 도입 주장은 협상의 걸림돌로 작용 돼 왔다.

 

광주시는 "'노동이사제'는 2019년 1월31일 협약 체결 직전까지 수없는 논의를 거쳤고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이 내용을 협약시키지 않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밝히고 있으며,  반면, 노조는 "현대차와의 투자 협정 조건은 사회적 대화와 상생 협력인데, 시스템 붕괴 상황에서 소통경영을 할 수 있는 방편이 '노동이사제'"라고 맞서고 있다.

 

한편,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민주노총에게 연대를 요구하며 "대화도 좋고 토론도 환영한다. 필요하다면 원하는 시기와 방식을 전부 위임하겠다"고 밝혀 그 의미에 대한 궁금증이 비등하고 있다.

 

 


-Copyrights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광주.전남.부산.대전.세종.서울 실시간 뉴스 및 동영상제공>
 

박은정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