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주형 일자리]누구도 책임지지 못할 비합리적(非合理的) 요구 즉각 거둬 들여야
뉴스

[광주형 일자리]누구도 책임지지 못할 비합리적(非合理的) 요구 즉각 거둬 들여야

박종하 기자
입력

e73313657dc2118cce6d7aea89faff53

▲ 사진 ; 광주형일자리 자동차공장 합작법인 ‘(주) 광주글로벌모터스’ 출범식에 선 이용섭 광주시장

 

- 광주전남 지역 대학취업처장들, 논란 조기 수습하고 국가적 미래비전정책인 일자리 사업 조속히 추진해 달라 요구


- 박광태 대표 문제 삼아 ‘광주 형 일자리’ 사업 발목 잡아서는 안 된다


[중앙통신뉴스=박종하 기자] 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 해 시장 취임 후부터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 2017년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광주전남지역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내 놓은 대통령 공약사항이기도 해 타 지자체에서도 눈여겨보고 있는 사업이다.

 

광주광역시는 울산, 포항, 창원 등 공업단지와 달리 도농 복합도시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제자리를 잡을 경우 이 지역 경제는 물론 심각한 청년실업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넘어설 수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더욱 높은 이유다.

 

하지만 최근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불협화음(不協和音)을 보이고 있는 것은 옥(玉)의 티라고 할 수 있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많은 시민이 주목하고 있는 판에 박광태 대표 사퇴를 요구하고 나서 관계 당국은 물론 이러한 논란으로 자칫 사업이 상당 기간 늦춰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어서다.

 

안그래도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인해 우리 산업과 서민경제는 한 치 앞을 가늠할 수 없는 위기 상황으로 빨려들고 있는 마당에 많은 국민이 주시하고 있는 이 사업이 첫 삽도 뜨기도 전에 대표의 자격 논란을 들고 나선 것은 안타까운 대목이다.

 

정부의 지원과 광주시 그리고 기업과 시민이 하나 되어 성공적으로 사업을 완수해야 할 중차대한 이 시점에 사업에 차질을 빚게 하는 것은 누구도 원치 않는 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이 사업이 협상 테이블에 놓일 당시에도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노동계의 반발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와 이용섭 시장의 끈질긴 설득으로 ‘고비용 저생산’ 구조를 현실에 맞게 도입할 수 있었던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노동자 평균 임금은 이미 약 8000만원대를 넘기고 있다. 그러나 높은 임금에 비해 생산성은 선진국보다 낮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광주시는 의료, 주택 등 각종 복지 혜택을 늘려 실질적 수입을 늘리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즉, 현대차 그룹과 광주시는 양해각서를 통해 44시간 주당근무와 3500만원 연봉을 보장해주는 동시에 임단협 5년 유예라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는 조항을 넣어 갖갖으로 광주 형 일자사업에 시동을 걸었지만 뜻하지 않게 박광태 대표 선임이라는 변수가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이러한 논란이 속에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대를 모았던 광주전남 지역 대학관계자들이 오늘(4일) 성명을 통해 논란을 조기 수습하고 국가적 미래비전정책인 이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 달라는 요구를 하고 나선 것이다. 이 사업이 사실상 이 지역의 경제를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중차대한 사업이어서다.

 

이들은 특히 광주시가 추진하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추진 초기부터 타 지자체들이 주목하고 있고, 실제로 광주 형 일자리 모델을 중심으로 ‘군산형’, ‘구미형 일자리’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은 반대를 위한 반대를 주장하고 나선 것은 선 듯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의견을 전했다.

 

우리나라 청년 실업률은 정부의 통계를 분석해도 매우 심각한 상황에 있다. 이런 점을 들어 이 지역 대학 취업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새로운 일자리를 기대하며 몇년을 기다린 청년들, 가족들, 취업대책을 맡고 있는 대학관계자들은 희망의 버리지 못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우려는 일견 타당하지만 민주적 절차에 따라 결정된 사안을 불법사항이 드러나지도 않았는데도 반대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라는 우려 말이다.

 

민주적 절차를 통해 선임된 대표에 대한 불신과 탄핵 움직임에 동의하지 못하겠다는 의미다. 맞는 말이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일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박광태 대표 불가론(不可論)은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와 청년들의 취업시장을 더욱 경색케 만들 수 있다.

 

게다가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이들의 강력한 반대로 광주 형 일자리 사업이 본 궤도에 접어들지 못하거나 사업이 상당 기간 늦춰질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이 지역 청년들과 시민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누구도 책임지지 못할 비합리적(非合理的)요구는 즉각 거두어 들여야 한다. 우리 모두를 위해서 말이다.

 

 


-Copyrights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광주.전남.부산.대전.세종.서울 실시간 뉴스 및 동영상제공>


 

박종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